Network

EC2라는 것은 뭘까?

mostlyjinsonit 2018. 9. 11. 15:47
반응형

EC2 - Elastic Compute Cloud

 

탄력적인 컴퓨팅 클라우드

AWS에서 가장 널리, 자주 쓰이는 대표적인 IaaS

인터넷에 연결된 가상 서버를 제공

OS수준까지 제공, middle ware 같은 것들은 직접 설치 해줘야 한다.

가상 서버이고 직접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터미널로 접근해야 함

 

EC2 상태

1. start(시작) : EC2 인스턴스를 시작하여, 운영체제를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상태

-> 시작 상태 부터 과금도 시작

 

2. stop(정지) : EC2 인스턴스르 정지한 상태. poweroff 상태와 동일

 

3. reboot(재부팅) : EC2 인스턴스를 재시작하는 상태.

 

4. terminate(종료) : EC2 인스턴스를 종료하고 모든 정보를 삭제한 상태. 삭제된 뒤에 목록에서 사라지려면 일정시간이 지나야 한다. 복구가 불가능.

 

*참고

EC2의 SLA는 99.95% -> 한달에 0.36시간 정도의 장애가 발생 할 수 있음.

 

EC2 인스턴스 유형

m: 범용 인스턴스, v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 저장 공간 등을 평균적이고 서비스 제공

c: compute optimied, 다른 인스턴스 유형들에 비해 메모리 대비 vCPU의 비율이 높으며, CPU사용시 우선순위가 높음

g, p : 고성능 nvidia 그래픽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서 CUDA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 머신러닝 작업에 사용되는 인스턴스

h, i : 스토리지 관리에 최적화 된 조합. 다른 인스턴스에 비해 기본 제공 스토리지가 매우 크거나, 매우 고속의 전용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인스턴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자동 재시작 해결 방법(NDIS 10400)  (0) 2023.01.05
Throughput과 Bandwidth  (0) 2022.10.07
REST, RESTFUL, REST API?  (0) 2019.08.07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0) 2019.08.07
웹 서비스란?  (0) 2019.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