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Database

정처기 수준에서의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고급 기능

mostlyjinsonit 2018. 10. 4. 22:45
반응형

트리거(Trigger) =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 수정, 삭제되어질 때 다른 테이블에 연관된 작업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데이터가 입력될 때 가상 테이블(Inserted Table, Deleted Table)을 통해서 입력이 된다.


내장형(Embedded SQL) = 응용 프로그램 내에 SQL 문장을 내포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함께 실행되도록

                                           PASCAL, FORTRAN, C, C++, JAVA와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에 삽입된 SQL을 의미한다.

     단 하나의 튜플만을 반환한다.


EXEC SQL BEGIN DECLARE SECTION

int SNO; 

char SNAME[20];

char DEPT[6];

char SQLSTATE[5];

EXEC SQL END DECLARE SECTION;


SNO = 100


EXEC SQL SELECT SNAME, DEPT

INTO :SNAME, :DEPT *: = 변수

FROM STUDENT

WHERE SNO=:SNO;


커서(Cursor) = 커서는 내장형 SQL과 달리 복수 개의 튜플에 접근 가능. 커서는 레코드 집합을 처리하기 위한 일종의 포인터.

DECLARE = 커서의 이름을 정의하는 선언을 하는 명령어.

OPEN = 커서를 실행.

FETCH = DB에서 가져옴.

CLOSE = 질의 실행 결과에 대한 실행 종료.


스토어드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 연속된 SQL 문장을 하나로 모아 서버에 미리 컴파일하여 저장한다.

         (부프로그램 개념)                            복잡한 SQL문을 미리 저장시켜 놓고 호출해 사용하므로 편리하다.

   일괄작업 수행에 용이하다.

반응형